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수강신청

질적연구의 설계와 수행 과정이미지
Zoom 온라인라벨
2025추계

질적연구의 설계와 수행

교육기간
2025.10.11 - 2025.10.18
교육시간
10시간
담당강사
전준 교수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수강료 175,500

수강료

학생할인 (증빙 후 적용)

총 결제금액

 

■ 담 당 : 전준 박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 일 시 : 2025년 10월 11일, 18일 [매주 토요일, 9:00~14:00] 

  ※ 다른 실시간 과정과 달리 총 2강으로 진행됩니다.

■ 수업방식 : Zoom 실시간 온라인 강의

■ 수강신청 : 2025년 9월 23일(화) 오전 10시부터 

 

 

1. 과정 개요

워크숍 목표

및 개요

- 질적연구의 특징을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출판된 질적연구들을 검토하며 역설계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연구를 설계하는데 참고한다.
- 인터뷰 설계, 해석, 시각화, 이론화, 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이해한다.
- 실제 질적연구(인터뷰)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며 논문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토의한다.
- 계산사회과학(Computational Social Science)을 활용한 질적연구 데이터 분석 방법을 소개한다.

참가 대상

질적연구 방법론에 관심 있는 학부, 대학원생 및 일반연구자

선수 과목

필수과목은 없지만 인터뷰방법,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등의 질적연구방법과 연구방법론 일반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워크숍 운영방식

강의와 실습을 병행합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강사의 강의노트가 제공됩니다.

 

<참고문헌> - 논문의 경우 사전에 읽고 참여하기를 권유합니다

- Small, M. L., & Calarco, J. M. (2022). Qualitative Literacy: A Guide to Evaluating Ethnographic and Interview Research. Univ of California Press. (한국어 번역: “더 단단한 질적연구를 위한 안내서”)

- Liebow, E. (1967). Tally’s corner: A study of Negro streetcorner men. Boston: Little, Brown.

- Goffman, A. (2009). On the run: Wanted men in a Philadelphia ghett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4(3), 339–357.

  • Desmond, M. (2011). Making Firefighters Deployable. Qualitative Sociology, 34(1), 59–
  • Desmond, M. (2012). Disposable Ties and the Urban Poor.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7(5), 1295– https://doi.org/10.1086/663574
  • Jeon, J. (2019). Invisibilizing politics: Accepting and legitimating ignorance in environmental sciences. Social Studies of Science, 49(6), 839–
  • 전준. (2021). 민주적인 과학기술과 상징폭력: 전문가와 대중의 관계론적 구성. 과학기술학연구, 21(1), 1-32.
  • 전준. (2024). 질적연구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진보할 것인가? : 계산사회과학과 질적연구의 관계에 대한 소고. 한국사회학, 58(4), 123-150.
  • Abramson, C. M., Li, Z., Prendergast, T., & Sánchez-Jankowski, M. (2024). Inequality in the origins and experiences of pain: What “big (qualitative) data” reveal about social suffering in the United States. The Russell Sage Foundation Journal of the Social Sciences: RSF, 10(5), 34–

- Chambliss, D. F. (1989). The mundanity of excellence: An ethnographic

report on stratification and olympic swimmers. Sociological Theory, 7(1).

실습자료

강사가 제공하는 실습용 자료 (추후 공지)

사용될 프로그램

없음

담당강사 정보

<학력/경력>

- Ph.D.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Sociology (2020)

- M.S. KAIS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011)

- B.S. KAIST, Chemistry (2009)

- 현)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사회학 전공 조교수

  • 전)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주요 논문/저서>

- Jeon, J., Kim, L., and Park, J. (2025) "The ethics of generative AI in social science research: A qualitative approach for institutionally grounded AI research ethics,"Technology in Society, 81, 102836

- 전준 (2024) “질적연구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진보할 것인가?: 계산사회과학과 질적연구의 관계에 대한 소고, 한국사회학, 58(4), 123-150

- Jeon, J. (2024) "I Don’t Care Who Rules in the White House: Boundary-Work between Science and Politics as an Everyday Politics of Knowledge," The Sociological Quarterly

- 전준 (2021) ”민주적인 과학기술과 상징폭력: 전문가와 대중의 관계론적 구성" 과학기술학연구 21(1): 1-32

- Chen, K*., Jeon, J*., and Zhou, Y. (2021) "A Critical Appraisal of Diversity in Digital Knowledge Production: A Segregated Inclusion of Knowledge Producers Community on YouTube," New Media & Society,

- Jeon, J (2019). "Invisibilizing Politics: Accepting and Legitimating Ignorance in Environmental Sciences." Social Studies of Science. 49(4): 839-862

유의사항

- 수업 시간 중 약 30분의 점심시간이 포함됩니다.
- 모든 강의는 실시간으로만 수강 가능하며, 다시보기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2. 강의 계획

일시

강의 및 실습 내용

1강

10월 11일

(토)

▪9:00-9:50: 질적 연구의 기초
▪10분 휴식
▪10:00-10:50: 질적연구의 설계 1 – 사례/공간 설정, 게이트키퍼/컨택트 포인트, 인터뷰, 필드노트, 시간보내기

▪10분 휴식

▪11:00-11:50: 질적연구의 설계 2 – 인터뷰 데이터 분석, 체험/경험/감각을 데이터화 하기, 발췌와 집중, 이론화

▪30분 휴식 (점심시간)

▪12:20–13:10: 질적연구의 역설계 1 (사례 분석이 강조된 논문) – Goffman (2009), Desmond (2011), Liebow (1967, “Lovers and Exploiters” 챕터)

▪ 10분 휴식

▪13:20–14:00: 질적연구의 역설계 2 (이론이 강조된 논문) – Jeon (2019), Desmond (2012) (일부 2차 강좌에서 계속)

2강

10월 18일

(토)

▪9:00-9:50: 질적연구 데이터 분석 실습 – 과제 분석 결과 공유
▪10분 휴식
▪10:00-10:50: 질적연구 논문 작성법 1 – 서론과 문헌연구: 분석틀 결정하기, 선행연구 리뷰의 방법들, 자신의 연구에 의미 부여하기
▪10분 휴식

▪11:00-11:50: 질적연구 논문 작성법 2 – 방법론과 본문 – 본문 설계의 방법들, Methodological appendix 읽기와 쓰기, 질적연구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기

▪30분 휴식

▪12:20–13:10: 질적연구와 계산사회과학 – Abramson (2024), 전준 (2024)

▪10분 휴식

▪13:20–14:00: 총정리 및 질의응답

수강료 할인 안내

■ 수강료
- 일반 : 175,500원
- 학생 : 148,500원 [약 15% 할인]
- 서울대 대학원생 : 119,000원 [약 20% 추가할인]
※ 서울대 대학원생에 대한 추가할인은 "서울대학교 BK21 대학원 혁신사업"의 예산지원에 따른 것으로, 1인 1개 강좌만 적용가능합니다.

■ 할인 적용 방법 [학생 증빙 완료후 환급]
Step1. 일반 수강료를 납부하여 수강신청을 완료한다.
Step2. 학생 증빙서류(재학·재적·휴학·연구생 증명서)를 이메일로 제출한다. [kossda@snu.ac.kr]
Step3. 수강료 할인에 따른 차액을 환급받는다.

강의목차(총 2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