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 당 : 황선재 교수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길정아 박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일 시 : 2025년 8월 4일 – 8월 8일 (월-금, 13:00~17:00) [5회 과정]
■ 수업방식 : ZOOM 실시간 온라인 강의
■ 수강신청 : [2차] 2025년 6월 25일(수) 오전 10시부터
1. 과정 개요
워크숍 목표 및 개요 |
- 패널자료의 구조 및 논리 이해 - 다양한 패널자료 분석기법 습득 - Stata를 활용한 패널자료 분석 실습 |
참가 대상 |
학부, 대학원생 및 일반 연구자 |
선수 과목 |
기초통계 및 회귀분석 |
워크숍 운영방식 |
전반부는 이론 강의, 후반부는 실습 강의 및 기존논문을 통한 분석의 원리와 적용 이해 연습으로 구성됩니다. |
교재 및 참고문헌 |
강사의 강의노트가 제공됩니다. - 한치록. 2024. 『패널데이터 강의』(제4판). 박영사. - 민인식·최필선. 2022. 『STATA 패널데이터 분석』(제3판). 지필미디어. - 민인식·최필선. 2022. 『STATA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제3판). 지필미디어. -Wooldridge, Jeffrey M. 2016. Introductory Econometrics: A Modern Approach. Boston: Cengage Learning. -Frees, Edward W. 2004. Longitudinal and Panel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실습자료 |
강사가 제공하는 실습용 자료 (추후 공지) |
사용될 프로그램 |
Stata (KOSSDA에서 평가판 제공) |
담당강사 정보 |
[황선재 교수]
<학력/경력> -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부교수. 2016~현재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연구교수. 2013~2016- 사회학 박사.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2012 - 통계학 석사.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2008 - 사회학 석사.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2006 - 사회학 학사 & 영어영문학 학사. 연세대학교. 2004 <주요 논문/저서> -“Subjective Inequality in South Korea: Perception, Belief, and Discontent.”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89: 100875. (2024) - 빈곤층 거주지 분리 양상 및 변화 추이, 2010~2023: 대전 사례의 함의.” 『한국사회학』 58(2): 43-80. (2024)-“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 및 원인 분석, 2016~2020.” 『한국사회학』 57(3): 1-32. (2023) -“Intragenerational Occupational Mobility of South Korea, 1998-2017.”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77: 100660 (2022).
[길정아 연구교수] <학력/경력>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2023.06-현재)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비교거버넌스연구소 연구교수 (2019.9~2023.05) -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사-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2019. -정치학 석사. 서울대학교. 2010.- 정치학 학사 & 경제학 부학사. 이화여자대학교. 2007.
<주요 논문/저서> - “The heterogeneous impact of college education on happiness by gender.” Social Science Quaterly 105(2): 311-326 (2024, joint research) - “서로를 향한 손가락질: 분점정부에서 국회-행정부 갈등에 대한 유권자 인식.” 『의정연구』 제30권 제3호, 143-189 (2024, 공저)- “승자와 패자는 어떤 민주주의를 선호하는가?: 정당 간 갈등/타협에 대한 인식과 민주주의 만족도.” 『현대정치연구』 제16권 제1호, 45-87. (2023, 공저)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양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20, 공저) |
유의사항 |
- 모든 강의는 실시간으로만 수강 가능하며, 다시보기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
2. 강의 계획
일시 | 강의 및 실습 내용 | |
1강 |
8월 4일(월) |
[전반부] ▪ 범주형 독립변수와 고정효과의 원리 [후반부] |
2강 |
8월 5일(화) |
[전반부] |
3강 |
8월 6일(수) |
[전반부] |
4강 |
8월 7일(목) |
[전반부] |
5강 |
8월 8일(금) |
[전반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