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주된 인식은 무엇이었을까?
동아시아연구원이 2009년에 수행한 <WPO 국제여론조사, 2009>를 살펴보면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당시의 평가와 기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조사는 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국제 정책 태도 프로그램(Program on International Policy Attitudes, PIPA) 산하 여론조사기관인 월드 퍼블릭 오피니언(World Public Opinion, WPO)이 지구적 현안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를 목적으로 시행한 국제조사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에 관한 조사내용(일반성인 남녀가 조사대상)을 포함하고 있다. 주목해야 할 조사내용은 ‘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에 두는 우선순위에 대한 평가’와 ‘기대되는 정부의 기후변화대응 우선순위 정도’ 그리고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우선순위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이다. 조사 결과 당시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우선순위’와 ‘(응답자가) 기대하는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우선 순위’는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거의 유사한 패턴과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다만 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에 좀 더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응답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우선순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정부가) ‘높은 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고 보고 있어 실제 정부 대응에 대한 평가와 기대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조사자료로 미뤄볼 때 기후변화는 국가적 그리고 전지구적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정부 차원의 기후변화대응에 거는 기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그림1. <WPO 국제여론조사>의 기후변화 문항 결과 - 한국 사례 |
![]() |
3. 기후변화는 어떤 영향을 얼마나 미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기후변화는 자연적인 원인과 인간이 일으킨 것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지구온난화를 통칭하며 2000년대 이후에 널리 퍼졌다. 이것은 지구온난화를 산업 발전과 그에 따른 탄소배출로만 국한하여 이해하던 1980년~90년대의 그것을 넘어서는 것으로 최근 들어 나타나는 급격한 기후변화와 그 결과(피해)의 예측 불가능에 크게 비중을 두면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자료원의 소장 자료 중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성과 및 개선방안 조사, 2013>는 인간 행위에 의한 지구온난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2015년부터 시행되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에 앞서 기존에 시행 중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와 같은 관련 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정부운영기관, 관리업체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했었다.
한편, <지구온난화에 대한 여론조사, 2012>는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던 시기에 대응하여 기후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결과의 심각성과 우리가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조사는 지구온난화가 기후변화와 혼용되어 사용되던 당시에(2012년) 수행된 것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후 온난화 문제에 대한 조사’와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정부 대책에 대한 조사’가 그것이다. 이 조사는 직접 가구 방문을 하여 대인 면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이때 활용된 설문지를 살펴보면 의미 있는 응답을 이끌어 내기 위해 지구온난화와 정부 대응 정책에 대한 풍부한 설명자료를 아래 그림처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
그림2. <지구온난화에 대한 여론조사> 설문지 |
![]() |
![]() |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일상생활이 변화되거나 악화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응답자는 84.3%이며, 이들이 심각성을 느끼는 상황은 ‘더워진 여름’(47.8%), ‘짧아진 겨울’(33.2%), ‘집중호우 증가’(15.6%) 순으로 나타났다.
|
그림3 . 지구온난화로 인해 일상생활이 변화/악화되고 있다는 느낌과 심각성을 느끼는 상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