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정 개요
강의 소개 및 목표 |
우리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데이터 산출 계획과 수집 그리고 분석을 실시합니다. 연구가 끝난 다음에도 데이터는 보존되어(archived) 교육이나 다른 연구 목적으로 재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데이터의 산출과 재이용을 아울러 ‘연구데이터 생애주기’라 부르는데 이에 대응하여 연구자는 ‘연구데이터 관리’에 대해 알고 이를 실천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 강의는 예비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 동영상 강의는 예비 연구자를 대학원생으로 정의하고 <대학원생의 연구데이터 이해와 관리> 시리즈*의 <기본>편과 <제도>편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강의는 그 중 <제도>편에 해당되며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연구에 관여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도록 한국사회과학자료원과 참여 교수진이 합의하여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대학원생의 연구데이터 이해와 관리> 강의 시리즈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BK사업의 지원을 받아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가 기획하여 전문가와 제작한 연구데이터관련 콘텐츠로 <기본>편과 <제도>편으로 구성되어 있음.
<연구데이터 이해와 관리: 제도>는 제1강 오픈액세스, 제2강 연구데이터 매니지먼트, 제3강 연구데이터 공유정책의 총 3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오픈사이언스 흐름의 맥락에서 연구데이터의 의미와 관리를 새롭게 배우는 동시에 연구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을 위한 정책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특히 이번 <제도> 편은 연구자의 연구 지원이나 논문 출판 등의 연구 활동 및 연구 성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정보와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유익하면서도 실질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수강대상 |
연구데이터 수집 및 보존(관리)이나 2차 분석을 위해 데이터 검색과 재이용을 하는 학부생들,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들, 연구원, 데이터관리 담당자 |
학습시간 |
총 5시간 41분 ∙ 제1강 오픈액세스: 2시간 ∙ 제2강 연구데이터 매니지먼트: 1시간 52분 ∙ 제3강 연구데이터 공유정책: 1시간 49분 |
교재 |
강사의 강의노트가 제공됩니다. |
강사 |
∙ 제1강 오픈액세스: 정경희 교수 (한성대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 제2강 연구데이터 매니지먼트: 김선태 교수 (전북대 문헌정보학과) ∙ 제3강 연구데이터 공유정책: 이상환 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2. 강의 구성
주제 |
강의내용 및 학습시간 |
||
<제1강>
오픈액세스 |
Part 1 |
▪ 오픈액세스의 정의와 배경 - 오픈액세스의 정의와 전략 - 오픈액세스의 등장과 연구자들의 대응 |
41분 |
Part 2 |
▪ 오픈액세스의 전개 - 오픈액세스를 위한 요구 - 오픈액세스의 전개과정과 문제점 -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운동 |
43분 |
|
Part 3 |
▪ 오픈액세스와 저작권 & CCL - 저작권에 대한 이해 - 창작물과 학술논문의 차이 - 지식공유를 위한 라이선스, CCL |
36분 |
|
<제2강>
연구데이터 매니지먼트 |
Part 1 |
▪ 오픈사이언스와 연구데이터 - 연구데이터의 종류 - 메타데이터 |
39분 |
Part 2 |
▪ 데이터 관리 - FAIR한 데이터 - FAIR한 데이터는 어디에 있는가? |
36분 |
|
Part 3 |
▪ 메타데이터 이해하기 - 메타데이터와 메타데이터 스키마 - DCMI & DataCite |
37분 |
|
<제3강>
연구데이터 공유정책 |
Part 1 |
▪ 국가연구개발사업과 연구데이터 산출 및 관리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이해 - 오픈사이언스와 연구성과물 |
36분 |
Part 2 |
▪ 연구데이터 공유정책 - 국가별 사례: 정책, 거버넌스, 인프라 및 지원기관 - 우리나라 연구데이터 공유정책 현황 |
44분 |
|
Part 3 |
▪ 연구데이터 활용을 위한 생태계 구축 - 연구데이터 공유의 시작: DMP(Data Management Plan) 개념과 다양한 예시 - 연구데이터 생태계 구축 및 사례 |
29분 |